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2025년 국내 주요 은행들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의 혁신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각 은행은 생성형 AI, 머신러닝, XAI 등을 활용하여 고객 경험 개선, 내부 업무 자동화, 신용평가 고도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기반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은행별 주요 AI 기능 및 서비스

    
은행주요 기능 및 서비스진행 일정
신한은행- AI 뱅커 기반 ‘디지털 데스크’와 무인점포 ‘AI 브랜치’ 운영- 감정 인식 분석을 통한 금융사고 예방

- 생성형 AI 기반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2024년부터 점포 확대 및 2025년 상반기까지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예정
생성형 AI 기반 AI 은행원
생성형 AI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NH농협은행- 모든 영업점에 AI 뱅커 배치
AI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XAI)
  XAI를 활용한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외국인 및 고령층을 위한 상담 서비스 제공
- 기업 대출 심사 AI 도입
2024년부터 적용 시작, 2025년까지 전국 확대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KB국민은행AI 금융비서 서비스 베타 오픈
- ‘리브 넥스트’의 AI 금융비서 베타 서비스- KB-GPT 및 KB-AI OCR 기술 활용- 생성형 AI 금융상담 Agent 도입
의심거래 보고(STR) AI 적용
2024년부터 PoC 진행, 2025년 상반기까지 상용화 예정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우리은행- ‘우리WON뱅킹’ 내 대출 상담 확장- 이상 외화 송금 탐지 프로세스 도입
생성형 AI 기반 AI 뱅커 서비스 출시
AI 챗봇기반 AI 실험실 오픈
2024년부터 적용 시작
하나은행AI 기반 기업 하이챗봇 오픈 (상담챗봇)
AI 수출환어음 매입 전산 자동화
해외송금 예측 서비스 AI 적용
AI 기반 정책자금 맞춤 조회 서비스 제공
- 기업 고객 대상 ‘기업 하이챗봇’ 운영- 기술력 기반 신용평가 모델 개발
2014년부터 신용평가 모델 개발, 2025년까지 서비스 고도화
카카오뱅크- 주 1회 언어 모델 재학습으로 챗봇 성능 개선-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대화형 금융계산기 도입
AI 전용 데이터센터 오픈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XAI 적용
AI 통한 개인화 추천 기능 도입
2024년부터 데이터센터 개소, 2025년까지 AI 에코시스템 완성
케이뱅크
대안 신용평가 모형(ACSS) 고도화
- 비금융데이터 기반 대안 신용평가 모형(ACSS) 도입- 금융 특화 LLM 개발- 고객 이벤트(퀴즈 챌린지 등) 제공
2024년부터 LLM 개발 시작, 2025년까지 상용화
토스뱅크
신분증 검증 자체 AI 모델 개발
- 신분증 검증 서비스(정확도 94%)
생성형 AI 기반 ‘나만의 지폐 만들기’ 서비스 제공
- 고객 맞춤형 이벤트 제공

2024년부터 적용 시작



AI 기술별 주요 활용 영역

  1. 고객 경험 개선
    • 신한은행: 무인점포 운영 및 감정 인식 분석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카카오뱅크: 개인화된 상품 추천과 대화형 금융계산기 도입.
    • NH농협은행: 외국인 및 고령층을 위한 상담 서비스를 강화.
  2. 내부 업무 자동화
    • KB국민은행: 텍스트 분석 기술(KB-STA)과 KB-GPT를 활용한 내부 업무 효율화.
    • 신한은행: 직원 업무 비서 플랫폼 ‘AI ONE’을 통해 업무 관리 자동화.
  3. 신용평가 고도화
    • 하나은행: 기술력 기반 신용평가 모델로 기업 평가 정확성 향상.
    • 케이뱅크: ACSS를 통해 금융 이력이 부족한 고객 대상 신용평가 확대.
  4. 이상거래 탐지 및 예방
    • 카카오뱅크: 머신러닝 기반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
    • 토스뱅크: 신분증 진위 여부 검증 시스템.
  5. 생성형 AI 활용
    • 카카오뱅크: 카드 결제 이력 기반 일기 생성 서비스.
    • 케이뱅크: 라이브 퀴즈 방송과 카드 만들기 이벤트.



 특징 비교 요약







기능/서비스 영역신한은행NH농협은행KB국민은행하나은행카카오뱅크
고객 경험 개선감정 인식 분석외국인/고령층 지원금융비서 베타 서비스정책자금 맞춤 조회개인화 상품 추천
내부 업무 자동화AI ONE 플랫폼XAI 추천 이유 제공KB-GPT 활용수출환어음 자동화데이터센터 개소
신용평가이상 외화 송금 탐지상품 설명 보조법인/개인 확인 제도기술력 기반 평가비금융 데이터 활용
이상거래 탐지/예방외화 송금 탐지XAI 모델 적용FDS 고도화보이스피싱 방지



향후 전망

  • 2025년 상반기까지 금융당국은 ‘금융권 AI 플랫폼’을 구축하여 각 은행이 오픈소스 모델을 내부망에 설치하고 성능을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 생성형 AI는 기존 보조 역할에서 벗어나 판단과 처리까지 가능한 AI Agent 방식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이를 위해 코어 시스템 아키텍처 변화를 수반할 것입니다.
  • 고객 맞춤형 대면/비대면 채널 확장과 함께 금융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Citations:
[1]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ai-in-banking-in-2025.html


#인공지능활용 #금융권인공지능사업 #AI은행원 #국내은행업권의AI사업현황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aken api - get token with python

[좋은글] 나침반의 바늘이 흔들리는 한 그 나침반은 틀리는 일이 없다 - 신영복

( 경영전략,사업전략 )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