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빅데이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이미지
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2025년 국내 주요 은행들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의 혁신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각 은행은 생성형 AI, 머신러닝, XAI 등을 활용하여 고객 경험 개선, 내부 업무 자동화, 신용평가 고도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기반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은행별 주요 AI 기능 및 서비스        은행 주요 기능 및 서비스 진행 일정 신한은행 - AI 뱅커 기반 ‘디지털 데스크’와 무인점포 ‘AI 브랜치’ 운영- 감정 인식 분석을 통한 금융사고 예방 - 생성형 AI 기반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2024년부터 점포 확대 및 2025년 상반기까지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예정 • 생성형   AI  기반  AI  은행원 • 생성형   AI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NH농협은행 - 모든 영업점에 AI 뱅커 배치 -  AI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 XAI)   XAI를 활용한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외국인 및 고령층을 위한 상담 서비스 제공 - 기업 대출 심사  AI  도입 2024년부터 적용 시작, 2025년까지 전국 확대 •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KB국민은행 • AI  금융비서 서비스 베타  오픈 - ‘리브 넥스트’의 AI 금융비서 베타 서비스- KB-GPT 및 KB-AI OCR 기술 활용- 생성형 AI 금융상담 Agent 도입 • 의심거래 보고 (STR) AI  적용 2024년부터 PoC 진행, 2025년 상반기까지 상용화 예정 •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우리은행 - ‘우리WON뱅킹’ 내 대출 상담 확장- 이상 외화 송금 탐지 프로세스 도입 • 생성형   AI  기반 ...

로그의 통찰 로그 인텔리전스(Log Intelligence AIOps)

이미지
로그의 통찰 로그 인텔리전스(AIOps) 로그 인텔리전스 (Log Intelligence, AIOps)는 인공 지능과 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IT 운영을 자동화하고 개선하기 위한 접근 방식입니다. AIOps는 IT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와 로그를 분석하여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하며, 더 나은 운영 및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의 통찰 로그 인텔리전스 (AIOps) 사례와  도구 로그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생기는 오류나 처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모니터링에 가장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최근 로그들의 분석 환경들은 클라우드 및 분산 환경의 다양하고 방대한 로그를 수집하여 실시간 분석하여 자동화하는 것이 로그 인텔리전스의 동향입니다.   일반적인 로그의 활용 개발 측면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의 로그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들의 결함을 찾고 성능과 품질을 개선하는데 활용 합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서비스의 이상 징후나 침해 예방을 위한 보안 감시를 통해 서비스를 감시/관리 하는데 활용됩니다. 또 비즈니스 상에서는 서비스의 결함과 처리 상태를 확인하여 완전한 서비스 품질관리 차원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환경들도 대부분 통합 로그시스템, 클라우기반 로그수집과 분석 등을 할 수있는  다양한 도구와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로그 수집과 분석이 가능해 졌습니다.   로그 분석 도구의 동향 최근 로그 분석 도구는  앱 또는 시스템의 이용자 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통합된 환경에서 로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모니터링하고  분석/평가가 가능해졌습니다. 산더미 같은 로그 데이터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이용자의 행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찾아냄으로써 발생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 기존의 로그 분석 도구는 배치를 통한 수동 쿼리 수준에서 동일한 데이터...

자기주권 신원 (SSI Self-Sovereign Identity) 인증의 발전 그리고 정보 민주화 (Information Democratization)

이미지
자기주권 신원 (SSI Self-Sovereign Identity) 인증의 발전 그리고 정보 민주화 (Information Democratization) 최근의 마이데이터(My-Data), STO (Security Token), Password-less Authentication , FIDO, 긱 경제 , 프로토콜 경제 등의 정보 민주화에 대한 생각이 나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인공지능과 같은 서비스들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없이도 정보 분석이 가능하고,  정보의 소유 주체에서 개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많겠지만 예를 들어 독자 여러분의 사진을 딥페이킹을 해서 해외 금융 계좌를 개설하거나,  음성 정보를 이용해서 가상 인간을 만든다면 세상을 어떻게 될까요 ? 넷플릭스의 블랙미러라는 시리즈를 보시는 분들도 계실텐테 정보 기술로 인한 인간의 생활이 어떻게 변할수 있는지 아주 극한의 상황들을 보여 주는 드라마 시리즈 입니다.   2023년 최근  "블랙미러 시리즈 중에  : 존은 끔찍해" 를 보셨다면 인공 지능과 결합된 개인 정보의 위험이 어떻게 되는지 상상 이상의 충격을 엿볼 수 있습니다. 주인공이 다니는 인공지능 회사에서 양자 컴퓨팅으로 직원 중에 특정 인물의 일상을 실시간으로 드라마 영상을 제작해서 유튜브에 생중계를 하는데,  실제 인물의 생활을 자극적인 내용으로 왜곡해서 방송하여 그 사람의 인생을 완전히 망가 뜨리는 내용 입니다.  주인공은 항의를 하지만 그것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 하다는 것이고 ... 등등 ... 드라마는  앞으로 컴퓨팅의 기술이 발전 할 수록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정보 변조가 가능 하다는 것이고 정보에 대한 자기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경고를 보여주는 영화 였습니다. 이런 드라마의 사례가 아니더라도  현재 개인의 정보를 관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좋은글] 나침반의 바늘이 흔들리는 한 그 나침반은 틀리는 일이 없다 - 신영복

( 경영전략,사업전략 )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이론

[Ubuntu]Linux Tunning -네트워크 커널 매개 변수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