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전략,사업전략 )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이론 #경영전략 #기업혁신전략 #가치창출전략 #생산유통전략 #가치사슬이론 #오픈이노베이션 #개방혁신전략 신사업을 하려면 사업 전략 기획 뿐아니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개발자도 경영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가 필요 합니다. 시장에 대한 기회요인과 필요한 기술을 찾고 투입 되는 생산 비용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은 디지털 기업이 성공하는 필수적이고 핵섬적인 전략 요소가 될 것입니다. (실패하지 않으려면) (경영전략.사업전략) 기업의 가치 창출 전략 이론 (1)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2) 자원 기반 관점 (Resource-Based View, RBV) 역량 확보 전략 (3) 헨리 체스브로(Henry Chesbrough)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이론 (4) 블루 오션 전략 (Blue Ocean Strategy) https://couplewith.tistory.com/668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이론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은 기업의 활동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 기법은 1985년 마이클 포터가 제안한 것으로, 기업 내부의 활동을 기본 활동과 지원 활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각 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가치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활동 (Primary Activities) 2. 지원 활동 (Support Activities) 1. 기본 활동 (Primary Activities) 1.1.내부 물류 (Inbound Logistics) 설명: 원재료의 수급 및 저장, 재고 관리 등을 포함합니다. 예시: 자동차 제조업체...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X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Docker] 자주 사용하는 "docker ps" 명령어 정리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X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
도커(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도커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관리하고 컨테이너를 생성, 실행, 중지, 삭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도커 명령어중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입니다.
Docker 변경 사항을 적용하고 상태를 파악하는데 " docker ps [options]" 가 필요합니다. 관련 명령어를 살펴 봅니다.
[Docker] Docker ps 명령어 정리
docker ps 명령어
1. docker ps -a or --all:
설명: 중지된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모든 컨테이너를 표시합니다.
$ docker ps -a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9fc210c3afc1 portainer/portainer "/portainer" 11 minutes ago Exited (2) 6 minutes ago portainer
8b2a4df7113f openproject/community:13 "./docker/prod/entry…" 2 months ago Exited (137) 2 months ago cranky_yalow
0c9b3f2ad626 openproject/community:13 "./docker/prod/entry…" 2 months ago Exited (255) 2 months ago 5432/tcp, 0.0.0.0:8080->80/tcp, :::8080->80/tcp condescending_lalande
a2c250403dc6 openproject/community:13 "./docker/prod/entry…" 2 months ago Exited (255) 2 months ago 5432/tcp, 0.0.0.0:8080->80/tcp, :::8080->80/tcp great_antonelli
fb0943de3011 openproject/community:13 "./docker/prod/entry…" 2 months ago Exited (255) 2 months ago 5432/tcp, 0.0.0.0:8080->80/tcp, :::8080->80/tcp eager_wozniak
2. docker ps -q or --quiet:
설명: 컨테이너 ID만 표시합니다.
# docker ps -q
b450537d3a7e
3. docker ps --filter:
설명: 특정 조건에 따라 컨테이너를 필터링합니다. 여러 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portainer" 라는 컨테이너 명으로 찾습니다.# docker ps --filter "status=running" --filter "name=portainer"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b450537d3a7e portainer/portainer "/portainer" 5 hours ago Up 5 hours 8000/tcp, 9443/tcp, 0.0.0.0:9000->9000/tcp portainer
4. docker ps -s or --size:
설명: 컨테이너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 docker ps -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SIZE
b450537d3a7e portainer/portainer "/portainer" 5 hours ago Up 5 hours 8000/tcp, 9443/tcp, 0.0.0.0:9000->9000/tcp portainer 0B (virtual 287MB)
5. docker ps --last[=숫자]:
설명: 지정된 숫자만큼의 최근에 실행된 컨테이너만 표시합니다.
# 최근 변경된 2개의 컨테이너를 출력 합니다. (변경된 건이 1개만 있어서 1개만 노출되었습니다.)#docker ps --last 2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b450537d3a7e portainer/portainer "/portainer" 5 hours ago Up 5 hours 8000/tcp, 9443/tcp, 0.0.0.0:9000->9000/tcp portainer
6. docker ps --format :
설명: 출력 형식을 지정합니다. Go 템플릿을 사용하여 출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docker ps --format 명령어는 출력 형식을 지정하여 원하는 컬럼을 표시합니다. 각 컨테이너에 대해 ID(ID), 이미지(Image), 상태(Status), 그리고 이름(Names)을 표시하고 탭으로 구분된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 1.-- Table 형식으로 출력# docker ps --format "table"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b450537d3a7e portainer/portainer "/portainer" 4 hours ago Up 4 hours 8000/tcp, 9443/tcp, 0.0.0.0:9000->9000/tcp, :::9000->9000/tcp portainer
# 2.-- Table 형식으로 일부 필드를 출력# docker ps --format "table {{field}}... "# docker ps --format "table {{.Names}}\t{{.ID}}\t{{.Image}}\t{{.Status}}"
NAMES CONTAINER ID IMAGE STATUS
portainer b450537d3a7e portainer/portainer Up 4 hours
# docker ps --format "table {{.Names}}\t{{.Status}}\t{{.Image}}\t{{.Ports}}"
NAMES STATUS IMAGE PORTS
portainer Up 4 hours portainer/portainer 8000/tcp, 9443/tcp, 0.0.0.0:9000->9000/tcp, :::9000->9000/tcp
(truffle 환경 설정) 스마트 계약 배포 와 truffle deploy 오류 해결 - Error: Could not find artifacts for SimpleStorage from any sources 간단한 오류의 원인은 truffle 환경의 contracts 소스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 입니다. 처음 truffle을 사용하다보니 환경 설정의 묵시적인 설정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 입니다. Truffle 설치 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개발 1. Truffle 설치 - 스마트 계약 개발 환경 구성 (truffle, ganache-cli, solc ) - npm install -g truffle - npm install -g ganache-cli - npm install -g solc 2. Truffle 사용 -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개발 - truffle create contract YourContractName - truffle create test YourTestName 3. [Truffle 환경 설정] 컴파일 오류 대처 - Error: Failed to fetch the Solidity compiler from the following locations: - Are you connected to the internet? 4. [Truffle 환경 설정] Deploy 오류 대처 - Error: Could not find artifacts for SimpleStorage from any sources - throw new Error("Could not find artifacts for " + im...
SSL/TLS 인증서 오류를 무시하는 linux 명령모음 - SSL certificate problem 외부 파일을 받거나 HTTPS로 통신을 점검하는 동안 SSL certificate problem 이 발생 하는 경우 대처하는 법입니다. # 개발 하면서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다운 받을때 SSL 인증서 오류 해결 방법을 정리 합니다. 1. curl 2. wget 3. git 4. pip 4. npm 1. curl - curl은 커멘드라인으로 HTTP, HTTPS, FTP, FTPS, SCP, SFTP 등으로 웹서비스를 호출하고 응답을 받을수 있습니다. 방법 1 # curl 명령에 대한 인증서 확인을 비활성화합니다. curl --insecure -I https: //www.some.com/ curl -k -O https: //www.some.com/file.tar.gz 방법 2 # vi $HOME/.curlrc # .curlrc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 합니다. insecure 2. wget - wget은 인터넷 웹서비스 호출의 결과나 파일을 다운 받는데 사용합니다. --no-check-certificate 를 이용하여 SSL 인증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wget --no-check-certificate https: //bootstrap.pypa.io/get-pip.py 3. git - git은 소스 코드를 관리하고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VCS)입니다. 방법 1. 환경 변수 설정 env GIT_SSL_NO_VERIFY= true git clone https: //some.git.com/file.git * ...
Linux Tunning -네트워크 커널 매개 변수 최적화 대량의 네트웍 처리를 위해 커널 파라미터를 튜닝하는 경우 자주 사용하는 환경을 정리하였습니다. /etc/sysctl.conf 파일을 작성하여 시스템 재부팅시 커널이 옵티마이징 되도록 합니다. # 네트웍 관련 커널 파라미터를 수정합니다. $ sudo vi /etc/sysctl.conf net.core.somaxconn = 4086 net.core.netdev_max_backlog = 5000 net.core.rmem_max = 16777216 net.core.wmem_max = 16777216 net.ipv4.tcp_wmem = 4096 12582912 16777216 net.ipv4.tcp_rmem = 4096 12582912 16777216 net.ipv4.tcp_max_syn_backlog = 8096 net.ipv4.tcp_slow_start_after_idle = 0 net.ipv4.tcp_tw_reuse = 1 net.ipv4.ip_local_port_range = 10240 65535 # 설정된 환경을 커널에 적용하여 로딩합니다. $ sudo sysctl -p 1) net.core.somaxconn: - 이 파라미터는 서버 소켓의 최대 연결 대기열 크기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4086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값은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net.core.netdev_max_backlog: - 네트워크 장치의 최대 패킷 대기열 크기를 설정합니다. 이 값은 500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3) net.core.rmem_max와 net.core.wmem_max: - 수신 및 송신 버퍼의 최대 크기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16777216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4) net.ipv4.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