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이미지
2025년 국내 은행 업권의 AI 기반 사업 현황 2025년 국내 주요 은행들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의 혁신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각 은행은 생성형 AI, 머신러닝, XAI 등을 활용하여 고객 경험 개선, 내부 업무 자동화, 신용평가 고도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기반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은행별 주요 AI 기능 및 서비스        은행 주요 기능 및 서비스 진행 일정 신한은행 - AI 뱅커 기반 ‘디지털 데스크’와 무인점포 ‘AI 브랜치’ 운영- 감정 인식 분석을 통한 금융사고 예방 - 생성형 AI 기반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2024년부터 점포 확대 및 2025년 상반기까지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예정 • 생성형   AI  기반  AI  은행원 • 생성형   AI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 NH농협은행 - 모든 영업점에 AI 뱅커 배치 -  AI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 XAI)   XAI를 활용한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외국인 및 고령층을 위한 상담 서비스 제공 - 기업 대출 심사  AI  도입 2024년부터 적용 시작, 2025년까지 전국 확대 •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KB국민은행 • AI  금융비서 서비스 베타  오픈 - ‘리브 넥스트’의 AI 금융비서 베타 서비스- KB-GPT 및 KB-AI OCR 기술 활용- 생성형 AI 금융상담 Agent 도입 • 의심거래 보고 (STR) AI  적용 2024년부터 PoC 진행, 2025년 상반기까지 상용화 예정 •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우리은행 - ‘우리WON뱅킹’ 내 대출 상담 확장- 이상 외화 송금 탐지 프로세스 도입 • 생성형   AI  기반 ...


토픽 모델링과 잠재적 주제 분석은

토픽 모델링과 잠재적 주제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과 자연어 처리(NLP) 기술로 텍스트 데이터에서 숨겨진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잠재적 주제 분석은 데이터의 의미적 연결을 탐색하는 과정이라면, 토픽 모델링은 이를 기반으로 문서 내/외의 주제를 분류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 모두 텍스트 데이터의 잠재된 주제를 추출하고 분석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접근 방식과 사용되는 알고리즘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1. 토픽 모델링 (Topic Modeling)




  • 개념:
    • 토픽 모델링은 문서 집합에서 숨겨진 주제를 자동으로 찾아내는 통계적 모델링 기법입니다.
  • 작동 원리
    • 문서와 단어 간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모델링하여 특정 주제가 여러 문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합니다.  
    • 문서에 나타난 단어들의 빈도와 분포를 분석하여 문서의 주제를 추론합니다.
    • 문서 집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를 찾아내어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이를 통해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하거나, 숨겨진 패턴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 주요 알고리즘:
    • 잠재 디리클레 할당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문서-주제 분포와 주제-단어 분포를 확률적으로 추정합니다. pLSI와 같은 확률 기반 기법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 잠재 의미 분석 (LSA, Latent Semantic Analysis): 특이값 분해(SVD)를 사용하여 문서-단어 행렬의 차원을 축소하고, 잠재된 의미를 추출합니다.
  • 관련 도구:
    • Gensim (Python): LDA, LSA 등 다양한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 scikit-learn (Python): LDA, NMF 등 토픽 모델링 및 텍스트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 R의 topicmodels 패키지: R 환경에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한 패키지입니다.
  • 활용 분야:
    • 뉴스 기사, 소셜 미디어 데이터, 학술 논문 등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 분석
    • 문서 분류, 추천, 정보 검색, 감성 분석 등

2. 잠재적 주제 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 LSA

  • 개념:
    • 텍스트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변환하여 문서와 단어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작동 원리:    
    • 문서-단어 행렬을 특이값 분해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하여 단어와 문서의 잠재된 의미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 단어의 동시 출현 패턴을 분석하여 단어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파악합니다.
    • 문서들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문서들을 클러스터링을 하거나 원하는 문서들을 검색하는데 사용될수 있습니다.
    • 기존의 텍스트 데이터에서 단순히 단어 간 빈도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넘어, 단어들 사이의 잠재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예를 들어 LDA는 문서 안에 다양한 주제가 혼합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각 단어가 특정 주제를 통해 생성될 확률을 계산합니다.
  • 주요 알고리즘:
    • LSA, 특이값 분해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문서-단어 행렬을 세 개의 행렬로 분해하여 잠재된 의미를 추출합니다.
  • 관련 도구:
    • scikit-learn (Python): LSA (TruncatedSVD) 기능을 제공합니다.
    • Gensim(Python): LSA 모델을 제공합니다.
  • 활용 분야:
    • 정보 검색, 문서 요약, 문서 클러스터링 등

 

3. 토픽 모델링과 잠재적 주제 분석의 차이점

특징토픽 모델링 (LDA)잠재적 주제 분석 (LSA)
목표문서내 주제를 자동추출단어간 의미적 유사성 분석
모델링 방식확률적 모델링 (확률 분포 기반,LDA,pLSI)행렬 분해 (선형 대수 기반) SVD
주제 표현단어들의 확률 분포잠재된 의미 공간에서의 벡터
해석 가능성비교적 높음 (주제별 단어 분포 확인 가능)상대적으로 낮음 (잠재된 의미 공간 해석 어려움)
계산 복잡도상대적으로 높음상대적으로 낮음
주요 알고리즘LDA, NMF 등특이값 분해 (SVD)
활용분야주제식별,텍스트 분류, 추천시스템문서검색, 유사문서찾기, 문맥이해

 

 

 

요약

  • 토픽 모델링은 문서의 주제를 확률 분포 기반으로 추론하는 반면, 잠재적 주제 분석은 행렬 분해를 통해 잠재된 의미를 추출합니다.
  • 토픽 모델링은 주제의 해석 가능성이 높고, 잠재적 주제 분석은 계산 효율성이 높습니다.
  • 두 방법 모두 텍스트 데이터의 잠재된 의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분석 목적과 데이터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akenD API Gateway - krakend.json 파일의 기본 구조

Kraken api - get token with python

( 경영전략,사업전략 )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 분석(Value Chain Analysis) 이론